인천의 수돗물에서 발견된 유충이 경기,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을 넘어 전국에서 발견되는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수돗물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인천지역은 물론 국민들은 지난해 붉은 수돗물 사태로 정부가 공급하는 먹는물의 신뢰성에 반신반의했는데 1년여만에 벌레 수돗물이 여기저기서 신고되는 상황에 망연자실할 뿐이다.

전문가들은 인천 정수장 문제의 원인을 활성탄 여과지 세척 등 고도정수처리시설 관리부실로 보고 있다.

활성탄 여과지는 숯과 유사한 고농도 탄소입자로 수돗물 원수 내 유기물을 잡아내 악취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고도 정수처리 시설에만 있고, 여름철에는 세척을 더 자주 해야 하는데 이를 소홀히 한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다른 지역에도 벌레 수돗물이 의심된다는 신고가 잇따르자 환경부는 공촌 정수장처럼 활성탄 여과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를 긴급 점검했고 그 결과 전국 7곳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문제의 원인도 밝혀졌는데 활성탄 필터는 자주 세척을 하면 여과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세척 주기를 30~10일로 하는 사이에 벌레들이 유입되고 유충이 발견된 것으로 보고있다. 완벽한 방충 시설이 문제 해결의 열쇠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상황이 어떻든간에 근본 원인은 관리 부실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고 정확한 원인 규명과 함께 책임도 엄중히 물어야 한다는 견해다.

그런데 원인을 들여다보면 정수 시스템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돗물을 관리하는 지방정부의 인사 시스템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수돗물을 관리하는 부서에 물 관련 기술자나 전문가가 아닌 행정직이 수도시스템을 통제하는 환경이 다반사라는 전언이고 보면 수질과 환경분야 기술자의 부족과 중용이 문제를 유발시켰다는 것이다.

이같은 지적은 비단 수도시스템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중앙정부의 조직에서도 기술직에 전문지식이 필요한 자리가 분명히 있음에도 행정직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돗물에서의 유충 발견은 애초에 발생하면 안될 일이었고, 국민의 안위를 생각했더라면 문제가 발생했을때 신속하고 투명하게 알려 추가 피해를 막았어야 했다.

또한 날이 갈수록 고도화되는 정수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전담 관리자 지정과 유지관리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