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건설산업을 기존의 경험의존적 산업에서 지식 및 첨단산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을 들고 나왔다. 스마트 건설은 건설에 BIM(빌딩정보모델링), 드론, 로봇, IoT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AI(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기술로서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건설 전단계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등 장점이 무궁무진하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2000억원을 투자해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에 착수키로 하고 내달 25일까지 연구기관을 공모한다고 발표했다. 국토부는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을 통해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25% 이상 향상하고 공사기간과 재해율은 25% 이상 감축하겠다는 목표이다.

참으로 바람직한 설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발표에 앞서 지난 2018년 10월 ‘건설 생산성 혁신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이때 국토부는 2025년까지 건설 생산성을 50% 향상 시키고 2030년까지 건설 자동화를 완성하겠다는 목표치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당시 제기된 목표치에 대해 비판이 많았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발표한 수치는 현실적이다.

사실 국토부의 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는 훨씬 이전부터 있어왔다. 지난 2007년 건설기술혁신사업을 시행하기 위해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을 설립하고 스마트하이웨이, 초장대교량, 풍수해 피해방지 등의 연구개발을 위한 사업단 등을 구성, 길게는 10여년 동안 수천억원의 비용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는 냉혹했고 한동안 국정감사에 단골 메뉴로 등장 하기도 했다.

건설기술혁신사업과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켜야 할 항목이 있다. 바로 로드맵에 나와 있는 이행 방안의 실천이다.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 기준을 개선하는 등 발주제도와 건설기준을 업체들이 적용할 수 있는지, 업체들의 입장에서 들여다 보고 개선해야 한다. 또한 건설분야는 신기술 도입이 매우 보수적인 만큼 현장에서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검증이 선행되도록 지원을 충분히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건설기술 정책, 특히 스마트 건설 등은 건축, 토목, 기계, 전기 등 주요 전문 기술진 참여형으로 입안되고 추진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필요 충분 조건이 충족됨을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