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안전 확보 최우선···전후 재건사업 협력 확대 가능
러시아, 서방 제재로 자금동결조치 시 공사대금 수령 난항 우려

지난해 11월 러시아의 10만 군병력이 우크라이나 국경지대에 집중 배치되면서 일대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이로 인한 군사 충돌 발발시 미국, 유럽 등 서방국가의 제재 강화로 양국 사업에 진출한 업체들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연말에 발표한 아이에이치에스 마킷(IHS Markit)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러시아의 건설시장 규모는 2467억 달러 규모로 집계됐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러시아의 1/10 수준인 277억 달러에 그쳤다. 유럽 전체 건설시장 규모인 3조893억 달러와 비교해 보면 양국의 점유율은 8%(러시아), 1%(우크라이나)다.

양국 건설시장 동향은 대체로 투자 확대에 주안점이 맞춰졌다.

먼저 러시아는 ‘적극적 인프라 개발(Aggressive Infrastructure Development)’에 따라 2030년까지 인프라 개발 부문에 2950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원전 건설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등 80개 사업으로 구성된 2770억 달러 규모의 재전환(Transformation Plan) 방침을 발표하고 실행에 옮길 예정이었다.

특히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현지 국영 원전운영사인 에네르고아톰(Energoatom)이 지난해 원전 5기를 건설하는 독점계약을 체결하는 등 인프라 확충을 위한 투자를 계획했다. 하지만 양국의 군사적 긴장감 고조가 각종 투자사업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번 사태는 친러시아 성향의 동부지역과 친서방 성향의 서부지역의 고질적인 지역갈등이 빌미를 제공했다. 여기에 과거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문제 등 우크라이나 내부 문제를 서방 국가들이 개입하고, 나토(NATO) 동진을 시도하면서 러시아가 강력 반발해 확산됐다.

양국간 군사적 긴장감 고조에 따른 우리나라 해외건설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우크라이나에 건설업으로 진출한 한국인은 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연말 러시아 등에는 총 72명이 파견됐다.

해외건설 전문가는 양국 갈등이 전면전 수준으로 확대될 경우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 건설기업의 철수는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만약 송금제한 등 이란 수준의 제재가 이뤄질 경우 시공 중인 공사의 기자재 수급부터 중도금을 포함한 각종 공사대금 수령이 불가능해 자금난에 봉착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도 나왔다.

다만 러시아 수주금액은 한국 해외건설 수주액의 1.8%로 미미해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 경우 우크라이나에서의 사업은 전면 중단이 불가피하다. 특히 가시화된 수주 건이 적어 한국 해외건설업체의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해외건설 전문가는 “최근 우크라이나에서 정책기금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가 많아졌다”며 “사태 악화시 단기적 사업 위축 가능성은 높지만 정세 변화에 대응해 한국과 우크라이나 간 협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의 경우 서방의 제재로 수주활동위축은 불가피하고, 신규 프로젝트 수주시 각종 제재 사항을 염두에 두고 제한적으로 활동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