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1일 문재인 대통령이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했다. 정부는 이번 ‘2050 탄소중립’ 선언을 계기로 ‘기후악당’ 꼬리표를 떼어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석탄발전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대체해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만들고 전기·수소차 보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탄소중립 사회에서는 운송, 냉난방, 산업 등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 분야에서 온실가스 실질 배출량이 제로가 돼야 한다. 매연을 뿜어내는 내연기관차는 친환경 운송수단인 전기차로 대체하고, 가정집과 건물의 냉·난방은 재생에너지나 원자력 기반 무(無)탄소 전력으로 공급해야 한다. 제조, 철강, 석유화학 공장의 탈탄소화도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에너지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을 목표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면 전력 수요는 지금의 2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추진이 필요하다. 모든 분야에 탄소중립을 추진하면 전문가들이 지적한 대로 전력수요를 감당하기가 힘들어진다. 제로에너지빌딩 등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수요를 줄이는데 안정화가 이뤄지면 다음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즉 대체 에너지원을 확보한 후 탄소배출 에너지원들을 감축하는 것이다.

정부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현재 전체 전력의 40%를 생산하는 석탄발전을 2050년까지 5% 이하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기존에 석탄으로 공급하던 전력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대체해야 하는데, 이를 채우기 위해 재생에너지 설비 수요가 지금보다 늘어나는 것은 기정 사실이다.

물량이 늘어나는 것은 호재가 분명하지만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설비분야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산업이다. 많은 분야에서 탄소중립 관련 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현재 기술만으로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쉽지 않은 과제지만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차세대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