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간 치열한 갈등이 표출됐던 21대 총선이 끝났다.

여야는 미래 대한민국을 위한 정책을 제시했고, 국민들은 투표로 그 선택을 했다.

총선에 승리해 정국 주도권을 쥐게 된 쪽은 승리의 기쁨과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게 될 것이고, 패배의 아픔을 갖게 된 쪽은 자기성찰을 통해 재건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위기 상황이다.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해 야기된 위기는 그 끝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최근 우리나라 경제성장전망치를 당초 2.2%에서 -1.2% 역성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물론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3%에 비해서는 양호한 편이지만, 실제로 이같은 전망이 실현된다면 우리나라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성장률이 뒷걸음질을 치는 결과를 맞게 된다. 더 심각한 것은 실물경제다. 3월 실업급여 지급액이 역대 최대 규모인 9000억원에 달했다.

새롭게 실업급여를 신청한 인원만 15만6000명에 달한다고 한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수출도 급감하고 있다. 4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9%나 감소했다.

국민 개개인이 느끼는 위기는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지난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2월 대비 18.5p 급락한 78.4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7월 이후 최대 하락 폭이자,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여파가 컸던 2009년 3월(72.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총체적 위기다. 현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 기조가 옳으냐 틀리냐에 대한 논의는 지속돼겠지만,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한 긴급 처방이 먼저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수많은 갈등과 앙금이 남았을 것이다. 하지만 국가 위기에는 여도 야도 없고, 진보도 보수도 없다. 국민들은 이제 이 위기를 극복할 방안을 찾는데 여야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어 주길 기대하고 있을 뿐이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