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이후 16.5% 증가 불구 전체 0.4% ‘미미’

전기⋅수소 자동차 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제공]
전기⋅수소 자동차 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제공]

[기계설비신문 김주영 기자]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친환경자동차(전기차・수소차) 보급률이 0.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도심지 등 수요자와 가까운 입지에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 편의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5일 ‘미세먼지 저감, 전기차・수소차 어디까지 왔나’를 발간하고, 친환경자동자의 보급 현황과 충전기반시설 구축 실태를 기초로, 보급 확산 방안을 제안했다.

정부는 오는 2030년 전기차・수소차 385만대 달성으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각각 30%, 11% 감축을 목표로 미래 자동차시장을 견인한다는 구상을 공개한 바 있다. 지금까지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전기차・수소차는 2015~2019년 사이 16.5배 증가했다. 그럼에도 국내 전체 차량에서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율 42.1%에 비하면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참고로 전국 미세먼지 발생의 10~30%는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 눈에 보는 전국 전기차⋅수소차⋅충전 인프라 현황(2019년 기준). [경기연구원 제공]
한 눈에 보는 전국 전기차⋅수소차⋅충전 인프라 현황(2019년 기준). [경기연구원 제공]

보고서는 수소차 등 친환경자동차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최대 장애요소로 △충전기반시설 부족 △차량 경제성・편의성 부족을 꼽았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전기차 공용 급속충전기는 2018년 3만9000기를 구축할 계획이었음에도 실제로 지난해 5800기만 구축됐다. 3만3200기는 아직도 계획 중인 셈이다.

수소충전소도 비슷한 실정이다. 지난해 86개소를 구축하려 있지만, 착공 중인 곳을 제외하고 25개소만 운용 중이다.

무엇보다 수요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위주의 충전기반시설 설치도 이용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충전기반시설은 교통량이 많고 거주 및 이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해야 효과적이지만, 대체로 관공서나 외곽 공공부지에 지나치게 편중해 설치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10월 기준 공용 급속 전기차 충전기 설치비율로 따질 때 시·군청,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에 설치한 시설은 1,595기로 전체 30%를 차지했다.

수소충전소는 도심 입지규제, 주민 반대 민원 등으로 충전이 불편한 외곽 공공부지에 집중되는 수요와 공급 사이의 미스매치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심지 위주로 선(先) 수소충전소 구축, 후(後) 수소차 보급을 추진하는 독일과 일본의 수소차 관련 정책을 사례로 거론했다.

이동인구와 충전수요가 많은 지점에 전략적 구축을 확대하고, 수소충전소에 대해서는 안전성 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주민 수용성을 제고할 것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연구원 강철구 선임연구위원은 “전기차・수소차 운전자의 불편 해소와 보급 확산을 위해 공용 급속 전기차 충전기반시설을 도시 내 5분 거리에 구축하고, 수요자 중심의 도심지 수소충전소 구축을 조기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