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환경시설을 활용한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로드맵’ 발표

환경부가 현재 하수처리장이나 댐 등에서 연간 3246GWh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2026년까지 5764GWh로 늘리기로 했다. 5764GWh는 연간 138만 가구(4인 가구 기준)가 쓸 수 있는 전력양이다.

환경부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시설을 활용한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로드맵’을 발표했다.

현재 전국에는 1341곳의 환경시설이 있다. 환경시설의 재생에너지 생산량은 2021년 기준 3264GWh이지만, 정수 및 하수처리 과정에서 석탄발전소 2기 분량의 전력 생산량에 맞먹는 7625GWh의 에너지를 쓰고 있어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된다.

환경부는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30년까지 8762GWh로 생산이 소비보다 많은 ‘에너지 순공급’ 시설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 정부 임기 안(2026년)에 현재 1.57GW인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가능 설비용량을 3GW로 늘릴 계획이다.

로드맵은 바이오가스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바이오가스는 음식물쓰레기나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 유기물이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다. 우리나라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원별 바이오가스 차지하는 비중은 2.1%, 생산시설은 110개로 독일 13.5%(8980개), 영국 6.3%(150개) 등에 비해 적은 편이다. 환경부는 바이오가스 시설을 2026년까지 140곳으로 확대하고, 현재 연간 3억6000N㎥인 가스 생산량도 5억N㎥로 늘릴 계획이다. 5억N㎥은 국내 도시가스 공급량의 약 2%에 해당하는 양으로, 연간 1812억원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대체 효과도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늘리기 위해서는 악취 등의 문제로 인한 주민 수용성 문제를 풀어야 한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은 “바이오가스가 늘어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10년 전에도 바이오가스를 건설하려 했다가 주민 갈등과 수용성 문제로 건설이 안 된 경우가 있다”며 “어떤 문제를 보완할 지에 대한 대안까지 함께 제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설비용량 1.52GW, 발전량 3104GWh인 물 에너지도 2026년까지 최대 2.9GW까지 설비용량을 늘려 발전량을 최대 4800GWh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4800GWh의 전력 발전량은 4735억원에 해당하는 전력 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물 에너지에서는 수상태양광과 수열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확대된다. 수상태양광은 모듈 효율 향상 및 제도 개선, 전국의 수상 태양광 설치 가능지역 조사 등을 통해 1.08GW를 추가로 늘리고, 삼성서울병원과 코엑스 등 에너지 다소비 건물을 대상으로 수열에너지 보급 지원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같은 바이오가스 및 물에너지 확대정책이 시행되면 2026년까지 연간 180만t, 2030년까지 657만t의 온실가스가 감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