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 이후 공사비 증액 어려워 물가상승분 반영 움직임
사업비 증가로 도정사업 수익성 불확실성 날로 증가

고물가, 자재난 등의 이유로 건설현장이 멈춰서고 있다. 주택부동산시장에서는 분양일정 자체가 순연되고, 건설시장에서는 착공 지연, 공사 유찰 등의 모습이 확산 중이다.

지난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원자재, 인건비 급등으로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별적 재건축·재개발 수주를 진행하는 동시에 신규 착공을 늦추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자재 가격 추이를 지켜보고, 정부가 발표한 분양가 상한제 개편안에 따른 득실을 계산한 뒤 재개할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A건설사는 지난해 수주한 수도권 재건축사업 진행을 일시중단했다. 이미 조합원 이주가 완료된 상황에서 철거공사에 돌입하는 것 자체가 부담된다는 판단에서다. 

B건설사는 철거를 마치고 오는 7월 예정됐던 착공을 미뤘다. 착공일 이후 공사비 증액을 요구할 수 없는 서울시 정비사업 표준계약서 탓이다. 실제 착공이 이뤄지기 전에 물가인상분을 반영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셈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자재값 인상에 대한 부담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됐다”며 “전례 없는 급등세에 일정 중단을 선택하는 것도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은 주택통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올 4월 주택통계에 의하면 주택 착공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 올해 3월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4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수도권지역에서 주택 착공이 25.8% 줄었다. 

건설업계에서는 착공 실적이 4월 급격히 줄어든 요인으로 물가 급등을 꼽는다. 지난 2년간 건자재 가격이 올랐지만 일부 자재를 중심으로 나타났던 행태가 최근에는 유가 상승의 여파, 파업 등의 이유로 일제히 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물가 급등으로 공사비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건설사들이 인허가를 받은 상태에서 당분간 관망하며 착공을 연기하고 있는 추세“라며 ”인건비, 건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는 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욱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던 현장도 멈춰서기도 했다. 

C건설사가 진행 중인 모 현장은 자재가격 상승의 여파로 이달 중순에 한주가량 공사를 일시 중단한 바 있다.

표면적 이유는 ‘물류난’이었지만, 내부에서 일정상 여유가 있는 만큼 비싼 가격에 자재를 수급하는 것보다 멈추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가 지난 4월부터 국내에 나타나고 있다”라며 “물가 급등으로 인해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나타나 분양과 착공 자체가 뒤로 미뤄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