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인 ‘자부심’ 회복이 첫 걸음

스스로 인식개선 노력해야 건설산업 변화가능
‘경제부흥 주역’이란 사회적 인식 확산돼야

본지는 지난 3개월여동안 총 13차례에 걸쳐 ‘건설산업 판을 바꾸자’라는 시리즈물 취재 보도를 통해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병폐와 현재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문가 제언을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건설사업의 첫 단추인 입찰·계약 단계부터 하도급, 시공품질, 안전, 인력수급 등 크게 4가지 테마로 구분해 보도된 이번 시리즈에서는 전문가들의 제언을 통해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노력했다.

당초 가격 대신 기술력을 평가해 사업자를 선정하겠다며 도입됐던 공공공사의 적격심사낙찰제는 ‘운찰제’라는 오명을 쓰며 ‘페이퍼컴퍼니’를 양산하는 결과를 낳았고, 여전히 많은 민간공사는 최저가 입찰제를 고수하며 부실공사와 안전사고 우려를 유발하고 있다.

원하도급간 수직적 구조는 건설현장에서의 불공정행위가 만연하는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해 마련된 하도급법 등 각종 법령도 현장과 다소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 건설기술진흥법, 중대재해처벌법 등 넘쳐나는 안전법안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대재해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적정공기’와 ‘적정공사비’ 미확보에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건설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인력수급과 양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입찰·계약제도의 개선, 적정공기·적정공사비 확보, 수평적 생산구조로의 전환, 현실과 부합되는 법령 개정, 인력수급을 위한 고용안전성 확보, 인력양성 프로그램 마련 등 다양한 제언들이 쏟아졌다.

하지만 이번 시리즈를 통해 얻게 된 가장 큰 교훈은 건설산업의 판을 바꾸기 위해서는 건설인들의 인식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사실이다.

왜곡된 건설산업의 생산구조는 쉽지 않겠지만 정부의 강력한 의지만으로도 바꿀 수 있다. 하지만 건설산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은 건설산업 종사자 모두의 의지가 없다면 바꿀 수 없다.

아쉽게도 건설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대표적인 ‘3D 업종’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많은 건설인이 ‘노가다’라는 비속어로 스스로를 지칭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건설산업은 대한민국의 현재를 있게 한 토대가 된 산업군이다.

1970~80년대 중동 건설현장에서 피땀을 흘리며 외화를 벌어들였던 건설인들이 없었다면 현재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건설산업 판을 바꾸기 위한 첫 걸음은 ‘건설인’이라는 자부심을 회복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건설인 한사람 한사람이 건설산업을 이끄는 주체로서, 대한민국 미래를 다시 한번 도약시키는 선도자가 되겠다는 목표를 가슴깊이 새겨보는 것부터 시작해보면 어떨까 제안해본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