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필 과장
(갑을녹산병원 내과 전문의)

겨울철은 다른 계절에 비해 기온이 낮다보니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따뜻한 잠자리에서 일어나 갑자기 찬 공기에 노출되면서 인체의 교감신경이 활발하게 반응하고 혈압이 상승하는 등 심장과 혈관 내벽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다.

특히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는 혈류 장애를 앓기 쉬우며, 심한 경우 심근경색증으로 갑작스레 숨질 수도 있다.

 

가슴 조이는 느낌, 의심을

겨울철에 가슴이 조여들고 쥐어짜는 것만 같은 통증이 생긴다면 우선 협심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협심증은 심장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위험신호다.

협심증이란 끊임없이 계속 일을 해야 하는 심장근육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야 하는 심장 동맥이 좁아져 원활한 혈류 공급이 안 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통증 지속 시간이 1~10분 정도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통증이 없어진다.

동맥경화가 심해져 심장혈관이 갑자기 막히고 심장에 혈액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급성 심근경색으로 심장마비를 초래할 수도 있다.

가슴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면서 심장에 손상을 남기는 경우를 심근경색증이라고 한다.

급성심근경색증은 사망률이 20~30%에 달하고 그 중 절반 정도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중요하다.

1~2분 이내 통증이 사라지는 안정형 협심증의 경우에는 운동을 하거나 계단을 오를 때 주로 나타난다. 급성 심근경색증이나 불안정형 협심증에서는 가만히 있거나 잠자고 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다.

성인병 있을 땐 더욱 조심

이른 시간부터 찬 공기를 갑자기 쐬면 가슴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증이 목 주위나 왼쪽 팔 주위로 번질 경우 협심증 같은 허혈성 심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흡연자, 고(高)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 동맥경화증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더욱 조심해야 한다.

이 경우 반드시 전문의를 통해 심전도 및 운동부하 심전도검사, 심장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아야 하며 결과에 따라 관동맥조영술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주의할 점은 증상이 있는 환자도 심전도 소견이 정상일 수 있다는 것. 이 때문에 심전도 검사만으로 병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정밀 진단·치료 필요하기도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려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 등 익히 알려진 일반적인 생활방식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심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는 먼저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심전도검사, 24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장초음파, 심장 CT(컴퓨터 단층 촬영), 갑상선 기능 검사 등을 시행한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 단순 부정맥의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좋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기질적 심장질환을 동반한 부정맥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밀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