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건축물관리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 비중. [국토교통부 제공]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 비중. [국토교통부 제공]

[기계설비신문 김주영 기자] 연면적 3000㎡ 이상의 집합건축물 등은 준공 이후 5년이 경과하면 3년마다 정기점검을 받아야 한다. 특히 사용승인부터 시공, 유지관리, 철거까지 건축물 생애주기에 부합한 체계적 관리 방안을 마련해 국민 일상생활까지도 안전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건축물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을 내년 1월 6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30일 제정된 ‘건축물관리법’의 후속조치다.

3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8년 기준 노후 건축물은 전체의 37%로 나타났으며, 2020년 40%로 늘어날 전망이다. 제천 복합건축물(2017.12.), 밀양병원(2018.1.), 종로 국일 고시원(2018.11.) 화재 등으로 기존 건축물의 안전한 관리에 대한 요구도 높아졌다.

이번 제정안의 주요내용은 △건축물에 대한 촘촘한 점검 체계 마련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존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보강 △해체공사 안전관리 강화 △건축물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이다.

먼저 건축물관리자가 사용승인 후 5년 내 최초시행하고 3년마다 실시하는 정기점검은 ‘공동주택관리법’ 등 타법에 따라 관리되는 건축물을 제외하고, 다중이용건축물, 3,000㎡이상 집합건축물, 공작물 등에 대해서 실시된다. 긴급점검 대상은 종전에는 위험한 다중이용 건축물 등으로 한정됐지만, 재난·건축물의 노후화 및 부실 설계·시공 등으로 건축물의 붕괴·전도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모든 건축물을 대상으로 확대된다.

또한 지자체장이 직접 시행하는 지자체 노후건축물 등 점검은 종전에는 20년 지난 건축물 등을 대상으로 했지만, 방재지구·자연재해위험개선 지구 내 건축물 및 건축법 제정이전 건축된 건축물 등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부실점검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관리점검기관은 지자체장이 직접 적정 기술인력·장비 등의 요건을 갖춘 기관의 명부를 작성하고 지정하도록 규정됐다.

기존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도 보강한다. 피난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의료시설‧노유자시설‧지역아동센터‧청소년 수련원 및 목욕탕‧고시원‧산후조리원‧학원 중 화재에 취약한 시설은 2022년까지 화재안전성능을 보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이번 입법예고(안)에는 성능보강에 소요되는 공사비‧설계비‧감리비 일부를 국가‧지자체가 보조토록 규정해 건축주의 비용 부담을 줄였다.

올해 7월 서울 잠원동에서 발생한 해체공사 도중 붕괴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이를 막기 위한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했다. 동법에 해체공사에 대한 허가 및 감리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모든 허가대상 해체공사에 대해 공사감리를 받도록 규정했다. 작업 중 사고위험이 높은 10톤 이상 중장비 활용‧폭파 등에 의한 해체, 구조적으로 민감한 특수구조 건축물의 해체 시에는 해체계획서를 작성해 시설물 안전에 관한 전문기관인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사전검토를 받도록 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신고만으로 가능했던 해체공사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했다.

이밖에 우수 건축물관리 사업자를 지정해 지원하고, 건축물관리 기술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조항을 신설해 건축물관리 관련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국토부 김상문 건축정책관은 “건축물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에는 안전한 일상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의 사용승인부터 시공, 유지관리, 철거까지 촘촘한 관리 방안이 마련됐다”라며 “국토부는 입법예고 기간 동안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건축물 사용자, 관리자 그리고 점검기관들을 고려한 균형 잡힌 제도를 만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등 관련 전문기관의 연구와 공청회 등을 거쳐 마련된 이번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안은 입법예고 이후 관계부처 협의,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내년 5월 1일에 공포·시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