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세식 화장실 보급비율 60%···분뇨처리 열악 위생 심각
전력난에 옥상 물탱크 펌프 시간제 가동···급수관도 낡아
평양 지하철 환풍기, 1970년대 소련제로 유지관리 어려워

나아갈 100년 - '통일시대' 대비 북한 건설시장 점검

미지의 땅, 북한은 이유를 불문하고 한국 건설산업의 미래 성장동력이다. 남북 대화가 사라졌음에도 북한 건설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요한 이유다.
한국 건설산업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북한 시장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계설비신문은 북한 기계설비산업을 알고자, 탈북자 2인을 만나 북한의 수도 평양 이야기를 들어봤다.
북한의 기계설비산업이 전력난 등으로 발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공조설비가 마련되지 않은 북한 평양 지하철 역사 모습. [무단전재, 복사, 배포 금지]
북한의 기계설비산업이 전력난 등으로 발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공조설비가 마련되지 않은 북한 평양 지하철 역사 모습. [무단전재, 복사, 배포 금지]

북한의 기계설비산업을 비롯한 건설산업은 1990년대 시작된 고난의 행군보다 앞서 발전을 멈췄다. 경공업 중심으로 움직이던 국가 경제가 만성적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단기적 대책에 몰두한 결과다. 그 결과, 북한의 건설산업에서 인력은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진다.

다만 복수의 탈북자 증언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 체제 하에 북한 건설시장, 특히 기계설비분야에서도 나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됐다. 청소년시절 스위스 유학 생활을 경험한 김 위원장이 인간 생활의 기본 요소인 의식주 문제 해결에 있어 나름의 개방적 사고를 지니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위생설비, 공조설비, 냉난방설비 등 대다수의 북한 기계설비산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하고 있다. 설비 관련 자재, 기술 등이 부족할 뿐 아니라 전력난으로 인해 갖춰진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무용지물로 방치되고 있는 셈이다.

위생설비는 형편없는 수준이다. 오배수 처리 시설 등의 기본적인 주택 성능을 보유한 주택의 보급 비율이 매우 낮다. 특히 수세식 화장실 보급비율은 전국 평균 59.4%(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조사결과)에 불과하다. 분뇨를 처리하는 시설은 ‘정화조’뿐으로, 이를 비우기 위해 분뇨처리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건축물 내에 오수 배관을 갖춰졌지만, 이를 오수처리장으로 보내는 인프라는 전무한 실정이다. 

급수시설은 대체로 옥상 물탱크식이 사용되고 있다. 전력 문제로 가압 펌프가 제한된 시간에만 작동해 상시 사용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지만, 급수관이 낡아 깨끗한 수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인천에서 발생한 붉은 수돗물같이 오염된 식수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난방의 경우, 평양시를 중심으로 중앙난방방식이 도입됐다. 하지만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가 가동을 멈춘 탓에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추위를 극복하기 위해 북한 주민들은 무연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무동력보일러를 발코니에 설치해 생활하고 있다. 이마저도 그나마 난방 인프라 보급이 가능한 평양에서만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고위층을 중심으로 가스·석유보일러를 설치하는 사례도 증가하는 등 지위에 따라 생활 여건도 큰 편차를 보인다. 

평양 밖으로 벗어나면 난방시설은 과거로 회귀하는 모양새다. 무연탄, 땔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온돌시설이 보편적이다. 

냉방설비는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부터 도입됐다. 전력난이 극심했던 까닭에 그동안 전기 소비량이 많은 냉방설비 사용 자체가 금기시됐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무더위가 극심해지면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대에 한해서만 가동하는 실정이다.

북한에서 공조설비를 설치한 사례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평양에서 공조설비를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대심도로 건설된 평양 지하철도 시설물이다. 1970년대 건설 당시 지하철 터널 내 소련제 환풍기를 설치 한 것. 하지만 이마저도 유지관리 및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가동이 여의치 않다는 것이 복수의 탈북자 증언이다. 

한국에서 북한 관련 연구에 집중하는 한 탈북자는 “남북한 경제협력사업 추진 시 상호 이익(win-win)을 추구해야 한다. 북한 내 각종 인프라 건설사업 추진 시 남북한 어느 일방에만 이익이 되는 것을 배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북한으로의 한국 기업의 진출은 국가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통일비용을 절감하는 등 다양한 경제적 이점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