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 발표

[기계설비신문 안광훈 기자]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주요 도시와 교통거점에 총 310기의 수소충전소를 만들기로 했다. 이중 86기는 올해 안에 구축된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22일 이같은 내용을 주요골자로 하는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이 안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31기가 운영되고 있는 수소충전소를 2022년까지 310기로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660기, 2040년까지 1200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정부의 2022년 수소차 6만7000대 보급목표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2022년에는 수소차 운전자가 30분 이내에 수소충전소에 도착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2030년에는 20분, 2040년에는 1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2022년까지의 구축계획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등록자동차 수, 인구 수, 지자체 면적, 수소차 보급량, 교통량 등을 고려해 광역지자체별로 균형있게 250기의 수소충전소가 설치되며, 이중 60기는 수소버스가 중점적으로 보급된 지역을 선정해 ‘버스 전용충전소’로 설치된다.

정부는 이같은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이 속도감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특히 기존 주유소나 가스충전소 등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거나 충전소 설비를 컨테이너 안에 배치해 설치를 간소화하는 ‘융복합·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확대해, 입지 확보나 구축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장기적으로는 현재 40%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핵심부품 국산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현재 25억원의 수소충전소 구축비용을 2030년까지 7억5000만원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설치비, 운송비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액화수소 충전소'도 2022년까지 3기 이상 구축할 예정이다. 액화수소 충전소는 기체수소 충전소에 비해 필요한 설비 면적이 5% 수준에 불과하지만 충전용량은 3배나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수소유통센터’를 설치해 적정 수준의 수소가격을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수소 가격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